안녕하세요, 스마트하게 재테크하고 영리하게 소비하는 Smartbuy입니다.
코스피가 3,000을 넘었다, 비트코인으로 돈을 엄청나게 벌었다...등등의 소식이 들려오지만 이런 소식들이 별로 귀에 들어오지 않는 분들이 있습니다.
위험자산 투자를 원하지 않고 안전한 투자자산으로 돈을 굴리기를 희망하시는 분들이죠.
위험자산에 투자해 돈을 버는 것 만큼 신나게 기분 좋은 일이 없지만, 돈을 잃었을 때의 아픔 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위험자산에 이른바 몰빵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지만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을 적절한 비율로 가져가는 것, 즉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은 스마트한 재테크의 필수 사항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투자처인 저축은행 비교(저축은행 금리 비교, 안전성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저축은행이 안전한 투자처인가요?"
은행만 이용하시는 분은 과거 저축은행 사태 등으로 인해 저축은행은 위험한 곳으로 생각하시는 분이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저축은행 예금 상품도 엄연히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5,000만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됩니다.
은행에 비하면 그 규모나 안전성 면에서 떨어질 수 있지만 예금자 보호 규모까지만 돈을 예치한다면 그리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규모면에서 상대적으로 큰 5대 저축은행"
아무래도 규모면에서 큰 회사가 소규모 저축은행 보다는 안전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물론,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요.
그래도 규모가 커진다는 것은 금융기관으로서의 면모, 탄탄한 내부통제 구축, 고객의 수, 운용자산의 규모 등에서 볼 때 작은 규모보다는 상대적인 안전성이 높다고 볼 수는 있겠습니다.
웰컴저축은행, SBI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 OK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위 다섯 곳이 5대 저축은행이라고 불리는 곳입니다.
다들 이름들은 한번씩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5대 저축은행 금리 비교"
자, 그럼 5대 저축은행 금리비교부터 해보겠습니다.
예금 약정기간 12개월, 천만원 납입기준입니다. 요새는 비대면, 대면 채널별로 예금 상품 금리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각 저축은행 기준 최고금리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21년 4월 24일 기준)
저축은행 | 상품명 | 금리 | 세후 |
웰컴저축은행 | m-정기예금, e-정기예금 | 1.80% | 1.52% |
한국투자저축은행 | 비대면회전정기예금 등 | 1.61% | 1.36% |
페퍼저축은행 | 회전정기예금 | 1.60% | 1.35% |
SBI저축은행 | 정기예금 | 1.50% | 1.27% |
OK저축은행 | OK안심정기예금 | 1.50% | 1.27% |
웰컴저축은행이 1.8%로 가장 높습니다.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OK저축은행보다 0.3% 높습니다.
은행 예금금리가 가장 높아야 1.2% 정도인데 아주 양호합니다.
여전히 은행만을 고집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 차이를 보면 예금자 보호 한도 이내에서는 저축은행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시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저축은행 금리 비교는 아래 저축은행중앙회 사이트에서 손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fsb.or.kr/ratedepo_0100.act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중앙회
www.fsb.or.kr
"저축은행 안전성, 건전성 지표를 알아봅시다."
저축은행을 꺼리시는 분들은 정말 저축은행에 돈을 맡겨도 안전한지 고민하실 겁니다. 막연한 걱정만 하기보다는 저축은행 안전성에 대해 공부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자, 그럼 웰컴저축은행의 2020년 결산 내용 토대로 알아보겠습니다.
1) 고정이하여신비율
여신이라는 말이 어색하신 분들도 있을 텐데 쉽게 은행이 고객에게 빌려준 대출을 의미합니다.
금융기관이 여신을 분류할 때,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5단계로 구분합니다. 당연히 뒤로 갈수록 돈을 못 돌려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정 이하 여신이라는 것은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이 3가지에 해당하는 여신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돈을 빌려줬는데 못 돌려받을게 확실하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는 돈의 비율이 어느 정도 되는지가 '고정이하여신비율'입니다.
당연히 비율이 낮아야 좋겠죠.
저축은행의 건전성(안전성)을 이야기할 때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이 8% 이하는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2) BIS비율(위험가중자산대비자기자본비율)
이거는 많이 들어보셨죠.
은행이 보유한 위험가중자산에 비해 자기자본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비율입니다.
저축은행의 건전성(안전성)을 이야기할 때는 BIS비율이8%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어쩌다 보니 1번, 2번 모두 8%가 기준이라서 통상 위 기준에 모두 안전한 경우, 88클럽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3) 유동성 비율
문제가 생겼을 때 보유자산을 얼마나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느냐를 보는 지표입니다.
유동성 비율이 100%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4) 총자산이익율
은행이 보유한 총자산으로 얼마나 이익을 발생시켰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당연히, 이익을 많이 내면 낼 수록 좋겠죠.
저축은행별 안전성
www.fsb.or.kr/busmagesett_0100.act#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중앙회
www.fsb.or.kr
"5대 저축은행 안전성(건전성) 비교"
이제 저축은행 비교를 하실 때 어떤 지표를 봐야 하는지 알았으니, 5대 저축은행의 안전성, 건전성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저축은행 | 고정이하여신비율 | BIS비율 | 유동성비율 | 총자산이익율 |
웰컴저축은행 | 7.24% | 13.60% | 159.78% | 2.74% |
한국투자저축은행 | 2.30% | 13.69% | 149.87% | 1.61% |
페퍼저축은행 | 4.06% | 11.92% | 133.15% | 0.93% |
SBI저축은행 | 2.55% | 13.46% | 135.25% | 2.56% |
OK저축은행 | 7.09% | 11.38% | 164.58% | 2.42% |
5대 저축은행 모두 각 지표별로 기준 이하인 항목은 없습니다.
웰컴저축은행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8%에 가까운 점이 눈에 들어오네요. 페퍼저축은행은 BIS비율이 제일 낮은 편이고, 총자산이익율도 1% 미만인 점도 눈에 보입니다.
두루 양호한 곳은 SBI저축은행이 고루 양호한 지표를 보이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에 문제가 생기면 내가 맡긴 돈은???"
내가 돈을 맡긴 저축은행에 문제가 생기면 내 돈은 어떻게 될까요?
앞서 말씀드렸지만 저축은행의 일반적인 예금 상품도 예금자보호제도를 통해 보호를 맡습니다. 혹여 안 되는 상품은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는다라고 명확히 공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예금자보호제도는 예금보험공사에 의해 원금과 이자 합쳐서 5,000만원까지는 해당 금융기관이 파산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더라도 고객의 돈을 대신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원금과 이자 합쳐서 5,000만원까지는 손해 볼 일이 없다...이 말씀입니다.
따라서, 저축은행에 예금을 하실 때는 이자를 대충 계산해서 그 이하인 4,000만원 대 금액을 넣어두시면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해당 저축은행에 문제가 생기면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돈을 돌려 맡기 위해서는 몇 개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불편함은 감수하셔야 됩니다.
"자, 정리하겠습니다."
1) 저축은행의 안전성은 고정이하여신비율과 BIS비율 등으로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2) 저축은행 예금 상품도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제도의 보호를 받기 때문에 그 이하 금액이라면 해당 저축은행에 문제가 생겨도 예금보험공사로부터 보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스마트한 재테크, Smartbuy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스마트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의료 산업 전망과 원격의료 ETF (미국 ETF) - 추천 정보 찾기 보다 직접 공부하기 (0) | 2021.05.05 |
---|---|
게임 산업 전망과 게임 ETF (국내 ETF 추천, 미국 ETF 추천 정보만 찾기 보다는 직접 공부해 봅시다) (0) | 2021.04.29 |
농협, 새마을금고, 신협 출자금 투자로 배당금 받기 - 재테크 꿀팁 (1) | 2021.04.08 |
ETF 투자 - ETF 유동성, 유동성 공급자(LP, Liquidity Provider) 역할 (0) | 2021.03.23 |
ETF 투자 - NAV(순자산가치), iNAV(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 가격괴리와 괴리율, 추적오차 알아보기 (0) | 2021.03.21 |